Article

"딥테크 스타트업 클러스터 만들어야…수도권 1극 체계 벗어나자"

[2025 키플랫폼] 특별세션3- 최치호 한국과학기술지주 대표 발표

홍재영 | 2025.04.25 16:47

image
최치호 한국과학기술지주 대표이사가 25일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머니투데이 주최로 진행된 '2025 키플랫폼' 특별세션3에서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딥테크창업생태계 전환 방안-공공연구기관기반 미래전략산업 중심 혁신 생태계전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이제 도시의 글로벌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이 됐습니다. 딥테크 스타트업 클러스터의 활성화가 필요합니다"

최치호 한국과학기술지주 대표는 25일 오후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개최된 '2025 키플랫폼'(K.E.Y. PLATFORM 2025) 특별세션 발표에서, 수도권의 1극 체계를 벗어나 주요 거점도시들을 중심으로 딥테크 창업 생태계를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진정한 혁신은 단순한 기술혁신을 넘어 '공간'에서 완성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딥테크 인덱스를 보면 딥테크 카테고리 10개 중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율은 19위로 굉장히 낮다"며 "이 부분을 어떻게 올릴 것인가가 우리의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맥킨지코리아의 한국에 대한 보고서에 담긴 분석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 한국 혁신 기업의 비율은 최하다. 그리고 혁신 기업을 많이 만들 방법으로 고도 성장을 견인할 많은 혁신적 사업 주체를 만드는 것이 제안됐다. 혁신적인 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클러스터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 대표는 "정부에서 지역 균형 발전 차원에서 비수도권 중심의 혁신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정책을 이어왔지만 국가 산업단지 가동률은 40% 수준이고, 소멸 위험에 처해 있는 비수도권의 기업들은 93%"라며 "원인의 거의 50%는 생산성 격차"라고 짚었다. 이어 "이 생산성 격차를 해결하기 위해 결국 많은 출연연(정부출연연구기관)이나 지역 특성화 대학을 중심으로 많은 스타트업들이 나올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한다"고 말했다.

수도권에 있는 인재나 스타트업들을 대전 지역 또는 4개의 권역으로 어떻게 집적화시키고 성장시킬 것인지, 그리고 어떻게 협력적 가치 사슬 생태계 내에서 키울 것인가가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아울러 이를 위해 지역 강점 기반의 스마트 전문화가 필요하다고 최 대표는 강조했다.
image
최치호 한국과학기술지주 대표이사가 25일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 호텔에서 머니투데이 주최로 진행된 '2025 키플랫폼' 특별세션3에서 '지역혁신성장을 위한 딥테크창업생태계 전환 방안-공공연구기관기반 미래전략산업 중심 혁신 생태계전환'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김창현
최 대표가 제안하는 것은 '딥테크 스타트업 시티 얼라이언스(동맹)'이다. 출연연이 있는 대전을 기반으로 4개 특성화 대학을 연결해 '글로벌 슈퍼 클러스터'로 나갈 수 있는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하자는 것이다. 그는 "창업 생태계 거점 도시를 만들고 연결해 전주기적인 협력적 가치사슬을 구조화하고, 그 부분들을 고도화시켜 혁신적인 스타트업과 파이프라인이 나와 글로벌 수준의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대표적으로 예를 든 것이 3세대 의약품 세포 치료제 중심의 바이오 슈퍼 클러스터다. 대전 허브와 오송, 송도를 연결하는 개념으로, 혁신 물질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대량 육성하고 협력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해 역량을 결집하자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세계 3위 수준의 신약 물질 파이프라인을 가진 만큼 이를 바탕으로 블록버스터 신약을 창출하는 거점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 대표는 그러면서 교토, 고베, 오사카 3개 지역을 거점으로 바이오 커뮤니티를 만든 일본의 사례를 설명했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혁신 주체를 엮고, 글로벌 경쟁력 있는 사업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해외 클러스터와 연결해 지원하는 구조다.

최 대표는 딥테크 혁신의 완성을 위해 성장을 이끌어 내는 스마트한 금융이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지역 전략 산업을 키울 수 있는 지역 모펀드를 대규모 조성하고 정책금융으로 지원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지역 소재 투자사를 우선 선정해 주고 투자 진흥 기구를 지정함으로써 선택과 집중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만들어줘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