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미리보는 2014 키플랫폼] 23일 총회 강연자 및 토론 패널 소개

키플랫폼 기획취재팀 | 2014.04.22 07:02

image

마크 헨드릭세 NTS그룹 최고경영자(CEO)는 네덜란드 첨단산업의 '아이콘'과 같은 존재입니다. 네덜란드 메카트로닉스(기계·전자 융합기술) 분야의 선구자인 헨드릭세 CEO는 현재 네덜란드의 첨단산업 분야 기업 협력 네트워크인 HTSM(High-Tech System and Materials)의 좌장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그는 HTSM를 통해 하나의 상품을 여러 기업의 협업을 통해 탄생시키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이라는 '이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마이클 트램 드로기그룹 전략자문 대표는 세계 최초의 경영컨설팅 기업 아서디리틀의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컨설팅 고수'입니다. 그의 재직 당시 ADL은 업계 평균의 2배 속도로 성장했습니다. 앞서 다른 경영컨설팅 기업 A.T.커니의 중역으로 있으면서 유럽, 아시아 기업들에게 경영컨설팅을 제공하기도 했습니다. △'당신의 회사를 혁신하라'(Innovate Your Company) △가치를 키우는 자 '(The Value Growers) △합병 이후'(After the Merger) 등의 저서가 있습니다.

헤더 헨릭센 하버드대 지속가능센터장은 세계 최고의 '지속가능성 전문가'로 불립니다. 경제 발전과 환경 보호의 양립을 추구하는 초국적 기업가단체 'E2'(Environmental Entrepreneurs)의 파트너입니다. 제프리 삭스 컬럼비아대 교수 등과 함께 지속가능성 전문가들의 글로벌 네트워크인 '센스앤서스테인너빌리티'(Sense & Sustainability)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미국 최대 미디어기업 가운데 하나인 타임워너에서 9년간 근무하며 임원까지 지내 실무 경험도 갖추고 있습니다.

중국 최대 경제·경영 인터넷포털인 허쉰왕(和訊網)의 CEO를 맡고 있는 천지엔펑 부회장은 과거 '중국 인터넷 엘리트상', '중국 인터넷 뉴마케팅 선봉인물상' 등을 수상한 중국 최고의 인터넷 미디어 전문가입니다. 일찍이 1996년부터 인터넷 사업에 뛰어들어 중국 인터넷 시장에서 잔뼈가 굵은 '베테랑'입니다.

알렉산더 켈러 롤랜드버거 스트래티지컨설턴츠 글로벌화학부문 대표는 1997년부터 화학기업들에게 경영컨설팅을 제공해온 화학 분야 전문가입니다. 특히 아시아시장에 대해 깊고 폭넓은 지식을 갖고 있습니다. 화학 산업의 발전 과제에 대해 활발한 연설 및 저술 활동을 펼치고 있는 켈러 대표는 '화학약품 2030'(Chemicals 2030)의 저자이기도 합니다.

라스 다니엘슨 주한스웨덴대사는 1980년부터 스웨덴 외교관으로 활동해왔으며 한국에는 2011년 부임했습니다. 1997∼2000년에는 스웨덴 국방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군사 분야에 대한 경험도 갖췄습니다.

미타니 고지 가나자와공대 토라노몬대학원 교수는 일본 최고의 '경영전략' 권위자로 통합니다. 지난해 발표한 '경영전략 논쟁사'는 최고의 경영전략 서적 가운데 하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세계 3대 경영컨설팅 기업 가운데 하나인 보스턴컨설팅그룹(BCG) 등에서 19년간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고객관계관리'(CRM) 개념을 본격 도입한 경력이 있습니다.

전세계 국가들의 역사와 문화를 다룬 '먼나라 이웃나라'의 저자로 널리 알려진 이원복 덕성여대 석좌교수는 '글로벌시대의 문화 통역자'로 불립니다. 10년간 독일에서 유학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만화를 통해 세계의 역사, 문화, 경제, 철학을 이야기하는 작업을 해왔습니다.

세계 최고의 핸드백 ODM(제조자개발생산) 업체인 시몬느를 이끌고 있는 박은관 회장은 대표적인 자수성가형 혁신기업가입니다. 1980년 대학 졸업 후 원양어선 사업을 물려받으라는 부친의 요구를 뿌리치고 가방 수출업체 청산에 평사원으로 입사하며 핸드백 시장에 눈을 떴습니다. 이후 1987년 시몬느를 창업, 버버리, 마크제이콥스, 코치, 토리버치, 지방시 등 세계 유수의 핸드백을 ODM으로 생산해왔습니다. 현재 전세계 명품 핸드백의 약 10%가 시몬느를 거쳐 갑니다.

장석인 산업연구원(KIET)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최고의 '융합 전문가'로 통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1986년 이후 KIET에서 산업 생태계 등에 대해 연구해 왔습니다. '혁신역량과 산업발전', '창조적 지식국가론', '한국의 탈산업화 현황과 대응 방안' 등의 저서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