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KOREAN
  • |   ENGLISH

KEY PLATFORM 2022

  • 키플랫폼 소개
  • 키플랫폼 2022
  • Eye on Topic
  • 등록
  • 지난행사
  • 후원

Eye on Topic

  • 아티클
  • 선데이 모닝
    키플랫폼
  • 동영상Clip
  • 유튜브
image -->
  • image
    해외로 뻗어가는 진격의 'K-유니콘'…올해가 성장 골든타임
  • image
    "산업 특수성 반영한 농식품펀드…더 커지고 다양해져야"
  • image
    "농식품 벤처투자 활성화하려면…전용 세컨더리 펀드 조성해야"
  • image
    "농업 생산력 개선…애그테크 스타트업 육성에 달렸다"
  • image
    "기술만 좋으면 끝?…애그테크 기업들, BM 고도화도 중요"
  • image
    "독립된 통계·성장사다리…애그테크 발전 위한 필수요건"
  • image
    "K-푸드테크, 이제 글로벌 시장 뚫는다" 약진하는 스타트업들
  • image
    "韓 농업인구 오히려 더 줄어야…규모 있는 농가 필요"
  • image
    "진정한 선진국은 농업강국, K-애그테크 글로벌 진출 위해 힘 모아야"
  • image
    "미래 푸드테크, 삼성·SK·네이버·카카오도 진출할 것"
  • image
    "농식품 모태펀드, 직접투자 확대…민간투자 공백 채우겠다"
  • image
    K바이오, 美 기업과 협업하면 FDA 인증 가능…"두려워 말라"
  • image
    "K-바이오기업, 나스닥 스팩상장 유망"
  • image
    "美 7500만 '베이비부머' 건강 고민...한국이 해결 가능"
  • image
    "해외에서 활동하는 韓 창업자·벤처기업 적극 지원해야"
  • image
    "한국 떠나는 스타트업, 배신자 낙인 대신 박수 쳐줘야"
  • image
    "스타트업 키우기 위한 정부·지자체 지원 차별화돼야"
  • image
    "직원도 사장도 기업가정신"…美 실리콘밸리 원천, 결국 '사람'
  • image
    "제품 질 높은 韓 바이오 기업들, 미국 진출 기회 충분"
  • image
    코로나19로 기회잡은 K-바이오, 美685조 시장 진출 핵심 전략은?
  • image
    "K-스타트업 르네상스 일으키자…올해가 성장 골든타임"
  • image
    "기술 패권시대…민주주의 국가 '과학 연대'만이 살길"
  • image
    "경쟁으로 성장한 한국 사회, 이제는 열린 자세와 협업 필요한 때"
  • image
    "노인 요양, 디지털화만으로는 안돼…사람의 온기 필수"
  • image
    "한국은 선진국, 유럽에서 '배운다' 아닌 동등한 협력해야"
  • image
    '손 떨려서' 42년 만에 은퇴한 치과의사…"설레는 노년" 비결은
  • image
    "과학자는 5년 뒤 치매도 예측"
  • image
    "65세는 노인? 나이 들면 은퇴?…구시대적 사고 벗어나야"
  • image
    "中·日앞서가는 특허·논문…韓 큰 잠재력 실현해 선두로 나서야"
  • image
    과학이 찾은 불로초…노화 막는 기적의 물질은 무엇?
  • image
    "노인 세대 디지털 거부감, 맞춤형 서비스로 극복"
  • image
    "저소득층 아동수당보다는…" 日 출산 장려책 방향 바꾼 이유
  • image
    지속 가능한 미래 위해 주목해야 할 유망 기술은?
  • image
    "자아실현 중요한 新노년, 일자리도 사회 참여형으로"
  • image
    가상으로 구현한 혁신의 '정수'...메타버스로 만난 '키플랫폼'
  • image
    "데이터 사이언스, 국가 흥망 좌우할 결정적 과학기술"
  • image
    노인이 된 베이비부머…"건강하고 활기찬, 새로운 노인들이 온다"
  • image
    "미래는 기정학(技政學) 시대…기술이 국가 생존무기"
  • image
    "기회의 문 열린 중동부 유럽, 두팔 벌려 한국 환영"
  • image
    "혁신 국가 韓·스웨덴 협력하면 글로벌 리스크도 해결"
  • image
    "지정학 시대의 귀환…선제적으로 예측하고 대응하라"
  • image
    에드윈 퓰너 "尹 당선인, 기업에 관심 많고 시장경제 신념 강해"
  • image
    "인구 3억 동·중앙유럽…韓 기업, 당연히 환영"
  • image
    "韓, 과거 동유럽 투자 활발…우크라 침공 후 기회 또 온다"
  • image
    "韓, 中보다 매력적인 동유럽 파트너"
  • image
    러-우 전쟁 후 '신냉전체제'…"자원의 무기화 심화할 것"
  • image
    "러시아에 맞선 리더십, 동유럽에서 나온다…새로운 유럽 볼 때"
  • image
    "중앙·동부 유럽은 새 기회…13년 된 中보다 한국 기업 환영받을 것"
  • image
    스태그플레이션 암운, 신흥국 위기 가능성 '글로벌 경제 시나리오'
  • image
    "한미관계 흥미로운 시기, 바이든 韓 방문은 상징적 의미"
  • image
    "혼란한 세계 상황…한미동맹 더 강화해야"
  • image
    "韓·美, 군사·경제협력 넘어 다음 단계 생각할 때"
  • image
    '10주년'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키플랫폼 개막
  • image
    '진격의 K-유니콘', 글로벌 향해 날아라
  • image
    코로나 극복하고 더 강해진 10살 키플랫폼
  • image
    "메타버스와 인플루언서는 찰떡궁합"
  • image
    집에서 생의 마지막 준비? '새로운 노인' 사는 법, 완전히 달라졌다
  • image
    '42년 치과의사'의 삶에 찾아온 연기…76세 배우의 '설레는 노년'
  • image
    러-우 전쟁, 미국 금리인상…어떤 미래 시나리오 펼쳐질까?
  • image
    대한민국 미래 좌우할 과학기술 어젠다는?
  • image
    미국서 열풍 '노화방지' 트루나이아젠, 한국서 비밀 풀린다
  • image
    [알림] 새 시대 헤쳐나갈 혜안을 원하는 당신에게
  • image
    머니투데이 '키플랫폼', 메타버스 기술 도입한 '혁신적 콘퍼런스'
  • image
    "메타버스, 인간이 대담하게 탐험하는 활기찬 문명 이룩"
  • image
    "특성 다양한 NFT, 사용자 교육 필수"
  • image
    "NFT·웹3.0, 나의 시간을 상용화하는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
  • image
    "메타버스, 기업들의 브랜딩·마케팅 돌파구"
  • image
    "메타버스에서 먼저 브랜드 키우고…현실 시장 공략"
  • image
    '약콩박사' 이기원 교수 "맞춤형 건강식 정기구독 시대 온다"
  • image
    "탄소중립, 경제·산업 흥망 좌우"…미래 국가 운명 가를 기술은?
  • image
    "메타버스, 현실적·직관적 소통을 위한 사회적·경제적 요구"
  • image
    "인간이 열망하는 인터랙션, 메타버스에서 극대화"
  • image
    "기업과 산업, 한계 없이 메타버스 활용 가능해"
  • image
    "나에게 나의 데이터에 대한 진정한 소유권 주는 NFT"
  • image
    "메타버스의 핵심 기술은 디지털 트윈...잠재력은 무한"
  • image
    "NFT 본질은 콘텐츠 제작, 콘텐츠 풍부한 산업이 수혜"
  • image
    "메타버스, 인터넷 영향 적었던 산업 변화시켜"
  • image
    "블록체인으로 은행 사라지지 않아...오히려 기회 될 것"
  • image
    [알림]러-우 전쟁, 北 위협 '혼돈의 지정학' 넘어설 전략 모색
  • image
    가상부동산 플랫폼 슈퍼월드 CEO "모든 산업에서 메타버스 혁명"
  • image
    "메타버스·NFT,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가장 성공할 것"
  • image
    "메타버스 NFT, 조만간 '생활의 일부' 된다"
  • image
    "몰입형 기술과 메타버스, 기업·공장·학교에 획기적 변화"
  • image
    "자본, 지금 NFT 시장에 착륙…언제 떠날지 아무도 몰라"
  • image
    메타버스 선도 기업으로 변신한 엔비디아
  • image
    "NFT, 사용자가 완전한 통제권 쥔 디지털 자산"
  • image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지배구조, 메타버스의 진정한 힘"
  • image
    "脫지정학적 가상세계 메타버스, 새로운 시대의 주류"
  • image
    글로벌 리스크 산재 '新지정학 시대'…韓 생존전략은?
  • image
    [알림]新지정학 시대를 읽는 혜안 '2022 키플랫폼'

KEY PLATFORM 2022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149 청계11빌딩 4층 머니투데이 혁신전략팀 info@keyplatform.or.kr 개인정보처리방침
  • KOREAN
  •   |  ENGLISH
머니투데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