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티클

"코로나 이후에도 의료체계 개선 필요…첨단 기술 접목시켜야"

2021 키플랫폼 - 지속가능한 의료체계

정한결 박수현 | 2021.04.29 18:43

image
정기석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29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주최 '2021 키플랫폼' 특별세션2에서 사무엘 버크 CNN 기자 겸 진행자, 발라즈 퍼제스 유럽혁신기술연구소 총괄 디렉터, 이바나 코스티치 Health Tech Lab 공동 창립자, 이던 투 대만 AI 연구소 설립자와 '지속가능한 의료 체계-세상을 치유하다'에 대한 화상 대담을 갖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코로나19 여파로 드러난 의료체계의 위기를 교훈 삼아 보다 굳건한 의료체계를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나날이 발전하는 의료기술에 의료체계가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의료데이터의 통일과 국가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29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글로벌 콘퍼런스 2021 키플랫폼 특별세션 2부에서 각국 전문가들은 펜데믹 이후 지속가능한 의료 체계를 두고 토론에 나섰다. 이날 토론에는 발라즈 퍼제스 유럽혁신기술연구소 총괄 소장, 이바나 코스티치 헬스테크랩 공동 창립자, 이던 투 대만 AI 연구소 설립자, 정기석 한림대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참여했다.

전문가들은 다시 찾아올 팬데믹에 대비해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하고, 데이터 통일 등을 통해 기술과 의료체계를 접목시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의료데이터 통일과 이를 위한 국제 협력이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정 교수는 "한국은 800만 명 넘게 검사하고 12만 명 정도의 확진자가 나왔는데 이 데이터를 제대로 축적하면 환자·질병의 역학을 파악하고 백신·치료제 투여 적정 시기 등을 파악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민간 의료의 경우 데이터가 통합돼 있지 않은데 이번 사태를 계기로 통합 데이터 관리소를 만들어야한다"며 "(각 나라마다)의료 분야서 협력하지 않고 있는데, 매년 최소 5개씩 새로 나오는 병원체만이라도 빨리 공유하면 혁신이 된다"고 강조했다.

발라즈 소장도 "표준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개방적으로 서로 정보와 모범사례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대륙별로 데이터 센터를 (통합시키고) 공유할 수 있다고 본다"고 했다.
image
정기석 한림대학교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가 29일 여의도 콘래드 서울에서 열린 머니투데이 주최 '2021 키플랫폼' 특별세션2에서 사무엘 버크 CNN 기자 겸 진행자, 발라즈 퍼제스 유럽혁신기술연구소 총괄 디렉터, 이바나 코스티치 Health Tech Lab 공동 창립자, 이던 투 대만 AI 연구소 설립자와 '지속가능한 의료 체계-세상을 치유하다'에 대한 화상 대담을 갖고 있다. /사진=이기범 기자 leekb@
전문가들은 한국 등 아시아의 중앙통제 방식의 의료체계와 더불어 개인정보도 보호하는 의료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발라즈 소장은 "팬데믹 상황으로 한국이나 대만과 같은 중앙집권 의료체계가 도움됐다는 것이 확인됐다"면서 "(개인정보 보호를 고려한) 중도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로 대만의 경우 인공지능(AI)을 통해 코로나 확진자를 관리해왔다. 환자가 병원에서 흉부 X레이를 찍으면 AI가 이를 감식해 코로나 감염 여부를 파악한다. 감염이 확인되면 대만의 질병관제서(CDC)에 관련 정보가 전달되면서 확진자 파악이 쉬워진다.

이던 설립자는 "엑스레이 정보를 활용해 실제로 지난 2월 3일 PCR 시험 전에 이미 109명의 확진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감염 경로에 대해서도 AI의 머신러닝(기계학습)을 적용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데이터를 한 곳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각 병원에서 개별적으로 기계학습 중"이라면서 "개인정보 보호를 준수하면서도 알고리즘 개선에 나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과 투자도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바나 창립자는 "헬스케어 사업은 기술이 많이 있어도 펀딩 기회가 부족한 경우가 많다"면서 "경영 관련 지식이 부족하기에 생태계를 개발해서 혁신이 사업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발라즈 소장도 "전문가들조차 혁신과 변화, 새로운 변화에 발맞춰 나가지 못하는 수준으로 빠르게 급변하고 있다"면서 "기술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기업에 도입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이 있기에 사회가 준비될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한 해만 해도 수십만건의 기술이 버려지는데 이를 비즈니스로 만들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정부가 기술이 실제 상업화될 수 있도록 키워줘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