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go
KOREAN
|
ENGLISH
K.E.Y. PLATFORM
K.E.Y. PLATFORM 2025
Eye on Topic
Registration
Past Events
Sponsor
Article
Sunday
Morning
KEY PLATFORM
Video Clip
-->
"운동장을 넓게 쓰는 것, 불확실한 글로벌 시장에서의 생존 방법"
"K푸드 혁신의 길, 디지털 전환·글로벌 진출 전폭 지원해야"
"야간연구하는 부엉이족 1만명"…스타트업 120개 탄생한 이 '대학'
"딥테크 스타트업 클러스터 만들어야…수도권 1극 체계 벗어나자"
스웨덴은 어떻게 '유럽의 실리콘밸리'가 됐나
"서울만으로 '스타트업 코리아' 어려워, '창업경제권' 도입해야"
"韓 벤처 생태계 9위…딥테크 육성·개방성 높여 글로벌 창업대국 도약"
같은 약에도 다른 효과 왜?...공간 생물학, 신약 개발 효율화 열쇠
잠재가치 '수경 원'…"바이오테크 '대폭발' 시작점엔 합성생물학"
전문가들 "K-바이오? 장기 비전부터 세워야" 한목소리
"유망기술·전문경영인 결합…자본도 갖춰야 바이오텍 투자 성공"
"K바이오, 美서 성공하려면 빅마켓 말고 틈새시장 노려야"
"韓 기업가·日 과학기술 합치면 美 같은 혁신 가능"
"2036년, 알고리즘 기반 신약 통합 시대 열릴 것"
제니 주 코리아콘퍼런스 회장 "K바이오, 효율성 경쟁 넘어 혁신·차별화 필요"
"SDK 활용한 한국 맞춤형 방산AI 도입 필요"
AI산업에 100조·200조…"막연한 투자보다 선택과 집중해야"
"미·중 패권 경쟁, 한국 AI 로봇 기업엔 북미 진출 기회"
"공공기관 AI 전환 선도해, 민간기업 시행착오 줄여야"
"제조업 강한 韓, 양자컴 시장 소·부·장 선점해야"
"지금은 현대차 같은 AI 재벌 나올 수 있는 시대"
"좋은 AI 결과물을 원한다면…데이터부터 먼저 정비할 것"
협력과 지원이 AI 활용 핵심…고성능 컴퓨팅 사용에 힘 모으는 유럽
"슈퍼컴퓨터 주 사용자는 이제 AI 연구계…경쟁력
키
워야"
정확도·보안 높인 특화형 AI '스파크'…"공공 부문 AI 전환 이끈다"
"AI 모델 연결성 증가…한국 AI 스타트업, 앱에 집중해야"
"언제나 답은 있다"…
2025
키플랫폼
, 불확실성 커진 세상의 솔루션 제시
"로봇이 육아하면 아이 정서는?"…AI 대중화가 가져올 고민들
"과학기술 R&D가 대한민국 미래 설계"
韓, 'AI 강국' 되려면…"규제는 연성법으로 접근해야"
美 정치 전문가 "韓 새 대통령, 트럼프에 파트너 의지 빨리 보여야"
"위기에서 기회 찾는다…글로벌 협력 체계 균열 속 틈새 노려야"
"트럼프 정책, 자유 수호 위한 방어책…한국은 경제·안보 핵심축"
한국 'AI 강국' 되려면…"규제 패러다임부터 바꿔야"
에드윈 퓰너 "美 관세, 장벽 아니라 한미 공동발전의 기회로"
강호병 머니투데이 대표 "트럼프發 불확실성, 레거시에 큰 균열"
"불확실성 큰 트럼프, 유연성 있다는 뜻이기도…거래 관점으로 접근해야"
"KAGC, 한인 유권자 단체 중 유일하게 美 연방 입법에 관여·성과"
[알림] 트럼프 2기의 해법이 궁금하다면?…'
2025
키플랫폼
'으로
"정책현장 특화 '스파크'…공공기관 AI 대전환 앞장설 것"
'우려 반 기대 반' AI와 함께 할 미래…'즉각 대응' 필요한 과제는
공공영역에 일으킨 새 '스파크'… "AI 전환 이끌 싱크탱크 될 것"
'한국형 AI' 이끌 슈퍼컴 6호기 온다…"AI·바이오, 시대적 흐름"
'AI 바이오 혁명' 위해…'100만 한국인' 데이터 모아 R&D 생태계 조성
"다양한 업무 대신하는 AI 에이전트, 韓 사회에 안전하게 통합해야"
"첨단 기술·강력한 문화 정체성…韓, AI 분야 독보적 영역 구축 기회"
"컨설팅 등 전문 서비스, AI 에이전트 부상에 '성과기반 요금제'로 전환"
"AI 활용하면 인기 끌 K-드라마 예측해 제작 가능"
"반도체·IT·제조업 강국 韓…헬스케어 AI에서도 경쟁 우위"
본격화하는 美·中 AI 패권 경쟁…"韓, 차별적 역량 확보해야"
[알림] 트럼프 2기·AI…격랑의 시대를 사는 지혜 '
키플랫폼
'
트럼프 2.0 시대, 위기를 기회로 바꿀 묘안은?
"트럼프가 '주한미군 철수' 언급할 때까지 마냥 기다려선 안돼"
[단독] 통신 3사 담합 매출액 28조 추정…잠정 과징금 3조원 안팎
"전략공천, 美선 상상 못할 일…지역·중앙정치 영향력
키
워야 출마 가능"
원/달러 환율 3.7원 오른 1379원 출발
29일 서울 외환시장. ...
한 목소리 낸 전문가들…"차별화 역량으로 K-바이오 경쟁력 확보 서두르자"
'생성형AI' 전성시대…"데이터센터 수요 폭증, 韓 전력인프라 늘려야"
"스타트업 성공하려면 기술 개발만큼 '이것' 중요해"
"딥테크, 단순 투자 넘어 생태계 구축해야"
"딥테크, 국경 제약 없어…일본은 양질의 R&D 투자 중"
사업화 가능성부터 유망성까지 분석…공공 R&D 가치창출 돕는 '아폴로 AI'
'혁신 강국' 스웨덴의 비결…딥테크 스타트업 성공 위해 '이것' 해야 한다
"글로벌 기업 되려면 글로벌 고객 위한 글로벌 팀 만들어야"
"K-딥테크 스타트업, 합작법인으로 전 세계 노려라"
"딥테크 기업
키
우려면 '클러스터 형성'·'규제 개편'해야"
"대형 제약사, M&A로 신약 프로젝트 확대에 박차"
K-바이오의 새로운 단계는 'M&A'…"잠재력·가능성 충분해"
"韓 바이오 기업, 혁신 신약 개발 역량 갖춰야"
"지구온난화…기술 혁신 없인 후손 먹일 식량도 없다"
"데이터센터 수요 폭증, 스타트업 유치 위해 韓 전력인프라 늘려야"
"생성형AI·헬스케어 전성시대…후발주자 韓, 이미 기술력 독보적"
제니 주 회장 "기존 질서 흔들리고 변화해야 기회 얻어"
생성형AI 미래는?…"요구 커진만큼 평가와 검증이 중요해"
"LLM, 지향점 아닌 도구…어떻게 사용할지 잘 알아야"
美 대선 이슈, 범죄·이민·낙태…현재 지표상 유리한 후보는?
논문분석부터 실험 설계·수행까지…'연구자AI' 시대 열린다
생성형 AI 시대 '10대 유망기술' 발표…한국의 강점?
정치·문화·과학기술 빨아들이는 'AI 블랙홀'…최종 승자의 조건은?
세기의 재대결, 美 대선…"트럼프 당선되면 韓 기업 불확실성 커져"
과학기술 정책에도 AI 활용…"누구나, 무엇이든, 어디서나"
"AI와 공존 넘어 '협업'으로…질문 잘하는 사람이 미래 최종 승자"
'기존 정책 확장' 바이든 vs '불확실성'의 트럼프…美 대선 후 韓 운명은?
"불안정한 국제정세...韓, 다자관계 리더십 발휘해야"
홍선근 회장, 퓰너 박사와 대담…"한미일, 경제·산업 협력 강화해야"
에드윈 퓰너 "G7, 한국 초청해 G8으로 확대해야"
"안보·자유 수호…양자관계, 다자관계로 확장해야"
"한국, 디지털 리더십 표준 만들어야"
홍선근 회장 "격자형 구조 한미일 동맹, 동아시아 평화의 강력한 축"
"美대선, 누가될지 예측보다 '굳건한 동맹체제 구축' 중요"
"美 대선 앞둔 불안정한 국제사회, 주도적 대응해야"
美 대선·AI 습격…불확실한 시대의 확실한 솔루션 '
2024
키플랫폼
'
"PADO, 밖을 알려 대한민국 단결시
키
는 역할할 것"
바이든 vs 트럼프…韓의 현명한 대응 전략은?
키플랫폼
, 美 대선을 바라보는 워싱턴의 생생한 목소리 전달
AI의 시대,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알림] 불확실한 시대의 확실한 솔루션 '
2024
키플랫폼
'
[우보세]혁신경제 전환의
키
는 결국 '딥테크'
"IT 수출 패러다임 전환…전세계 JV로 '멀티풀 엑시트' 노려라"
"美 대통령 누가 되든 영향 없을 한미일 협력 제도화 필요"
"디지털 전환은 조직 방향성 설정하는 지속적인 여정"
이곳 이기면 백악관으로…바이든·트럼프 사활 건 여긴 어디?
[알림] 불확실한 시대의 길라잡이 '
2024
키플랫폼
'
신냉전 최대 변수 '美 대선', 글로벌 전문가들이 말하는 韓 대응책
"글로벌 동맹 흔드는 트럼프…한미일 협력은 건들지 않을 것"
바이든? 트럼프?…美 대선 결과에 따른 대응 전략은?
디지털 리더의 조건…창조적 비전과 가능성을 꿈꾸게 하는 리더십
트럼프 재선되면 한미일 협력체제 운명은...?
디지털 전환, AI만 도입하면 끝?…'인식 안바뀌면 말짱 도루묵'
"韓 지도자, 트럼프와 강력한 개인적 유대 구축해야"
"디지털 시대 리더, 조직을 'CARE' 하라"
국제질서, 전쟁, 기후정책…"트럼프 재선하면 모든게 바뀐다"
'디지털 전환' 근본적 질문, 한국이 꼭 첨단기술 선도해야?
파괴적 혁신, 디지털 전환…대기업은 잘 못하는 이유